서울을 돌아다니다 보면 파란색, 초록색, 빨간색 버스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. 그런데 이 버스들의 번호는 어떤 기준으로 정해졌을까요? 오늘은 서울 시내 버스 노선 번호 체계를 알아보겠습니다!
🏙️ 서울 버스 노선 번호 체계
서울의 버스는 색상과 번호를 이용해 체계적으로 구분됩니다. 이러한 방식 덕분에 시민들은 목적지를 쉽게 찾고, 환승도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.
✅ 간선버스 (파란색, 100~600번대): 서울 도심과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장거리 노선 ✅ 지선버스 (초록색, 3000~9000번대): 특정 지역 내에서 운행하며 간선버스를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 ✅ 순환버스 (노란색, 0xx번대): 도심 내 주요 거점을 순환하며 짧은 거리 이동 ✅ 광역버스 (빨간색, 9000번대): 서울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장거리 노선 ✅ 마을버스 (초록색, 지역별 번호): 구(區) 단위로 운영되는 소규모 버스
🔢 번호 부여 방식
버스 번호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운행 경로와 역할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입니다.
🚍 간선버스 (파란색) - 100~600번대 서울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핵심적인 노선입니다. - 100번대: 강북 지역 중심 노선 - 200번대: 강남 지역 중심 노선 - 300번대: 동서 방향으로 이동하는 노선 - 400번대: 남북 방향으로 이동하는 노선 - 500번대: 서울 외곽과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 - 600번대: 공항 및 특별 노선
🚌 지선버스 (초록색) - 3000~9000번대 간선버스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, 4자리 숫자로 구성됩니다. - 첫 번째 숫자: 권역 구분 (예: 3 = 동북권, 5 = 서남권) - 나머지 숫자: 세부 노선 구분
🔄 순환버스 (노란색) - 0xx번 서울 도심 및 특정 지역 내에서 순환하는 노선이며, 대표적인 노선으로는 남산 순환버스가 있습니다.
🚏 광역버스 (빨간색) - 9000번대 서울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광역버스는 9000번대 번호를 사용하며, 이동 거리가 길어질수록 9700번대에 가까운 번호가 부여됩니다.
🚎 마을버스 (초록색) 각 구별로 자체적으로 번호를 부여하며, 주로 해당 지역 주민들의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.
🎯 서울 버스 노선 체계의 장점
🟢 색상과 번호를 활용해 쉽게 구별 가능하여 처음 이용하는 사람도 빠르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. 🟢 지하철과 연계되어 있어 환승이 편리합니다. 🟢 지역별로 체계적으로 배치되어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
🗺️ 서울 버스 노선 체계를 한눈에 보기
서울특별시
서울 시내 버스 번호의 원리를 이제 이해하셨나요? 😊 이 시스템을 잘 활용하면 더욱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!